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12. 2. 12:43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경제
“광주형 일자리 창출에 힘 모아야”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하반기 본회의 개최
- 2015년 운영 실적 보고 및 2016년 협의회 운영 방안 등 논의
▲ 노사민정협의회 ⓒ외침
광주광역시, 아시아대양주에 새로운 수출활로 개척 (0) | 2015.12.06 |
---|---|
광주 자동차산업밸리 내년부터 본격화 (0) | 2015.12.06 |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실태조사 실시 (0) | 2015.12.02 |
광주시, 올해 고용우수기업 21곳 추가 선정 (0) | 2015.11.30 |
광주 서구, 양동발산창조문화마을 관광자원화로 일자리창출! (0) | 2015.11.30 |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8. 23. 11:58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경제
광주시, ‘광주형 일자리 모델’ 용역보고서 공개
시민 의견 접수, 시책에 적극 반영키로
▲ 광주광역시청 ⓒ외침
광주광역시는 민선6기 중요 시책의 하나인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광주형 일자리모델 구축’ 연구 용역을 완료하고, 그 결과를 지난 20일 정책연구관리시스템(www.prism.go.kr)에 공개했다.
용역보고서는 광주시가 향후 추진할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앞으로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접수, 시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 의견 접수: 광주광역시 사회통합추진단 전화(062-613-6290, 6291), 팩스(062-613-6269), 이메일(전자우편 ssha1516@korea.kr)
시 박병규 사회통합추진단장은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접목 가능한 보다 세밀화된 실행계획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앞으로 각계 각층의 의견을 듣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라고 말했다.
용역보고서(제공:광주광역시)
▲ 광주형 일자리 창출모델(안) 정의
- 광주시가 주도하고 지역의 이해 당사자인 노사와 시민들이 참여하는 연대를 통하여 혁신을 지향하는 자동차 산업의 신규투자를 유치하고 광주지역에 사회통합기반 혁신공장을 설립
-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조합을 경영의 파트너로 인정하는 ‘노사 파트너십’을 구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모델
- 지역고용 전략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지역주체의 일자리 창출모델에 대한 방향성 제시
▲ 사회통합기반 광주 혁신공장 설립 주요 내용
적정임금 설정, 임금체계 개편, 노동조합 경영참가, 학습공장 실현, 자율팀에 의한 생산방식, 새로운 노동자 유형 정립, 위탁 생산방식, 별도 법인 설립
- (적정임금 설정) 광주 평균임금, 1차 협력업체 직원 연봉 수준 등 고려
- (노동조합 경영참가) 노동조합의 경영참가를 통한 경영책임의 공유
- (학습공장 실현) 지속적 교육훈련을 통한 고숙련 실현
- (생산방식) 자율적 작업팀에 의한 생산방식 전환
- (새로운 노동자유형 정립) 자율적 숙련형성, 참여, 책임성의 강조
- (별도 법인설립) 독일의 Auto 5000, 미국 GM의 새턴 사례 연구
▲ 발전방향
- 새로운 ‘노사파트너십’을 통해 저생산성-고임금-장시간노동 ⇨ 고숙련-고부가가치-고임금의 선순환 체계로 변환
like1@naver.com
광주시, 2015 고용우수기업 선정 - 26일, 16개 기업에 인증서 교부… 행․재정 인센티브 16종 제공 (0) | 2015.08.27 |
---|---|
광주시, 제2회 추경 356억원 증액 제출 - 정부 추경에 따른 국․시비, 소방안전교부세 등 반영 (0) | 2015.08.25 |
8월은 체납한 자동차세 납부의 달입니다 - 오는 31일까지 납부 (0) | 2015.08.20 |
광주시, 주민세 부과로 추가 확보된 재원, 청년일자리 창출 등에 집중 투자 - 올해 정기분 주민세 57만9천건에 105억원 부과 (0) | 2015.08.19 |
새정치민주연합 소상공위특위 광주투어 - 소상공인 정책 사각지대의 목소리를 듣는다. (0) | 2015.08.17 |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8. 12. 16:56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경제
광주시, ‘광주형 일자리 모델’ 방안 찾았다
‘노사 파트너십’ 통해 고숙련-고부가가치-고임금(3고) 가능
▲ 광주광역시청 ⓒ외침
광주광역시는 민선6기 중요 시책의 하나인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광주형 일자리모델 구축’ 용역 보고서를 지난 7월말에 완료했다.
시에 따르면, 올해 1월 한국노동연구원에 의뢰한 연구 용역은 광주시가 향후 추진할 광주형 일자리 창출에 대한 마스터플랜과 기본 방향을 담고 있다.
- 사회통합기반 혁신공장 설립 기본개념은?
적정임금 설정, 임금체계 개편, 노동조합 경영참가, 학습공장 실현, 자율적 작업팀에 의한 생산방식, 새로운 노동자유형 정립, 위탁생산 방식, 별도의 법인 설립
시가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지역의 이해 당사자인 노사와 시민들이 함께 참여해 지금까지는 한 번도 실현된 적 없는 지역 거버넌스를 통한 ‘노사 파트너십’ 구현으로 노사관계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꿔 보겠다는 것이다.
시가 추구하는 노사관계의 새로운 틀이 짜여 지면 노사 파트너십을 근간으로 해 연대와 혁신을 통해 신규투자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고용안정이 보장되는 더불어 잘사는 광주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임금-저생산성-장시간 노동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고숙련-고부가가치-고임금(3고)의 선순환의 상생의 길로 들어서게 되면 이것이 바로 광주시가 실현하고자 하는 창조경제인 것이다.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전 세계적으로 ‘일자리 창출’이 국가적 핵심 아젠다가 되어 있는 요즘 시대에 친노동, 친숙련, 고임금, 친환경을 통한 성장, 즉 하이로드 전략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효과적으로 창출하여 경제의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선진 각국들의 일자리 창출 노력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것이다.
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실현 가능한 밑그림을 그렸고 향후 현장에서 접목 가능한 실행계획을 만들기 위해서 한국노동연구원, 사회통합지원센터와 협업해 올해 말까지 액션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박병규 시 사회통합추진단장은 “광주에서 새롭게 시작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돼 각 지역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like1@naver.com
새정치민주연합 소상공위특위 광주투어 - 소상공인 정책 사각지대의 목소리를 듣는다. (0) | 2015.08.17 |
---|---|
<사진뉴스> 광주광역시, 휴가철 바가지요금 근절 캠페인 실시 (0) | 2015.08.14 |
송암산단, 첨단문화산업 기지로 거듭난다 - 첨단실감콘텐츠 제작클러스터 조성 사업,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0) | 2015.08.12 |
광주시, 2015 명품강소기업 육성사업 참가기업 모집 (0) | 2015.08.11 |
광주시, 11개 기업에 ‘여성 고용환경 개선자금’ 지원 - 중소제조업 우선, 기업 당 최대 1000만원 (0) | 201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