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24
2015.09.21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11. 24. 12:06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종합
서구, 2016년 공동주택 종량제(RFID) 확대 추진
- 광주시 공공음식물자원화시설 용량초과로 내년도 음식물쓰레기 대란 예상
- 2015년 12월 15일까지 참여 신청서 접수
▲ 서구 2016년 공동주택 종량제(RFID) 확대 추진 ⓒ외침
광주 서구가 광주시 음식물자원화시설 용량초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대란이 우려됨에 따라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2013년부터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세대별 종량기(RFID)를 59개 단지 25,347세대에 436대를 설치․운영 중에 있으며 2016년에 30여개단지 20,000세대에 300대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그동안 공동주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단지별로 수거해 처리비용을 세대수 별로 나눠 지불해 왔으나 쓰레기 배출시마다 세대별로 고유식별번호(RFID)를 인식해 배출하는 방식인 종량제 기기 시행 후 30% 이상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종량제 기기를 설치한 공동주택의 한 주민은 “기기 설치 전에는 우리 집이 어느 정도의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지 인식하지 못했지만 설치 후에는 음식물쓰레기 양이 바로 확인되어 최대한 물기도 제거하고 주의를 기울여 버리게 된다.” 고 전했다.
서구청 관계자는 “2016년 공동주택 세대별 종량제 사업을 12월 15일까지 접수하고 있으니 참여하지 않은 공동주택의 많은 관심과 신청을 바란다.”며, “서구가 주민스스로의 참여로 음식물쓰레기도 줄이고 환경도 살려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서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성인1인당 1일 50g 줄이기 공익운동과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처리수수료를 감면해 주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
like1@naver.com
광주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사업 설명회 개최 (0) | 2015.11.24 |
---|---|
호흡기질환 조심, 파라인플루엔자감염증, 지난달 대비 4배 이상 증가 (0) | 2015.11.24 |
서구, 동절기대비 재난취약시설 안전점검 실시 (0) | 2015.11.24 |
광주제석초등학교, ‘사랑의 빵 나눔 봉사활동’ 실시 (0) | 2015.11.24 |
청소년 시정 참여 보장 위한 ‘2015 청소년 만민공동회’ 개최 (0) | 2015.11.23 |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9. 21. 21:44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종합
광주광역시 서구 공공주택 쓰레기 세대별 종량제(RFID) 확대추진
- 서구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환경도 보호 취지
- 광주시 공공음식물자원화시설 용량초과로 내년도 음식물쓰레기 대란 예상
▲ 광주광역시 서구청 ⓒ외침
광주 서구에서는 광주시 음식물자원화시설의 용량초과로 인한 시설보수, 악취문제 등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대란이 우려됨에 따라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서구는 지난 2013년부터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세대별 종량기(RFID)를 58개 단지 24,361세대에 425대를 설치하여 운하고 있으며 내년도에 50여개단지 30,000세대에 500대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단지별로 수거해 처리비용을 세대수 별로 나눠 지불하는 방식에서 세대별로 고유식별번호(RFID)를 인식해 배출하는 방식의 종량제 기기를 설치한 후 30%이상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종량제 기기를 설치한 공동주택의 한 주민은 “기기 설치 전에는 우리 집이 어느 정도의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지 인식하지 못했지만 설치 후에는 음식물쓰레기 양이 바로 확인되어 최대한 물기도 제거하고 주의를 기울여 버리게 된다.”고 전했다.
서구 관계자는 “종량제 기기보급 및 시책추진과 함께 주민 개개인의 음식문화 개선을 위한 의식변화가 중요하다.”며 “깨끗한 환경을 위해 주민스스로의 참여와 동참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에 적극 동참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성인1인당 1일 50g 줄이자는 취지의 공익운동과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처리수수료 감면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는 등 다양한 시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like1@naver.com
감전사고 소방관에 시민 쾌유 기원 이어져 (0) | 2015.09.21 |
---|---|
화정3동 사랑의 집수리로 이웃사랑 실천, 저소득 가정 주거환경개선 (0) | 2015.09.21 |
<포토뉴스> 광주복지재단 대표 내정자(엄기욱)에 대한 인사청문회 (0) | 2015.09.21 |
<사진뉴스> 광주시, 성매매 방지 캠페인 (0) | 2015.09.20 |
<사진뉴스> 광주시, 치아사랑 구강보건 캠페인 (0) | 2015.09.20 |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8. 6. 19:55 / Category : 정치·사회·경제/종합
음식물도 자원… 음식물쓰레기를 줄입시다
- 광주시, 내년부터 공공 음식물자원화시설서 정량만 처리
▲ 광주광역시청 ⓒ외침
광주광역시는 단독․공동주택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공공 음식물자원화시설에서 전량 처리하던 것을 이달 말까지 정량 처리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내년 1월부터 정량 반입을 추진한다.
※ 광주광역시 조례로 고시된 음식물쓰레기 반입 기준량 : 450톤/일
광주지역 지난해 음식물쓰레기 하루 발생량은 489톤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6월까지는 발생한 전량을 공공시설에서 처리했지만 음식물자원화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과 악취 저감을 위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량 처리키로 함에 따라 공공시설의 처리기준 용량 초과분은 민간에서 처리하게 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치구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혐오시설인 음식물 처리시설 확충도 쉽지 않아 시민들의 자발적인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배출량에 따라 가구별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공동주택 세대별 종량제(RFID)를 도입해 9만2070가구(27%)에 계량 기기를 설치하고, 올해 1만4460가구를 추가해 총 10만6530가구(31.3%) 설치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확대 보급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해 종량제사업 이외에도 음식물쓰레기 경진대회, 감량실적에 따른 인센티브제, 대시민 홍보 등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버려지는 음식물도 소중한 자원이다.”라며 “각 가정에서는 먹을 만큼만 만들어 먹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등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데 적극 협조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like1@naver.com
광주시 ‘PD·작가 팸투어’ 효과 있네 - 참가자 도움으로 방송3사 시사교양·드라마·다큐 광주촬영 잇따라 (0) | 2015.08.06 |
---|---|
8월, 전기화재 주의해야 - 사용빈도 높은 냉방 가전제품 등 과열로 화재 늘어 (0) | 2015.08.06 |
인생을 정리하는 자서전을 만들 수 있다. - 2015 서구 어르신 자서전 쓰기 참여자 모집 - 서구에서 1년이상 거주하는 65세이상 어르신 대상 (0) | 2015.08.06 |
요리 배운 ‘꽃할배’들의 특별한 자원봉사 - ‘꽃할배 건강한 식생활 교실’ 수강생 30여 명, 담양예수마음의 집서 요리 봉사 (0) | 2015.08.05 |
푸른광주21협의회 소식지 “까치밥” 발간 (0) | 201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