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2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11. 2. 12:53 / Category : 생활·교육·행사/행사·축제·체험
서구, 박정희초청 판소리 “심청가” 공연
- 오는 11월 5일 오후5시 서구 빛고을 국악전수관에서 열려
▲ 빛고을국악전수관 ⓒ외침
광주 서구가 오는 11월 5일 오후5시 빛고을국악전수관 공연장에서 제471회 목요열린국악한마당 박정희를 초청하여 판소리 동초제 심청가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심청가 소리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범피중류대목 ▲오색채단 ▲추월만정 ▲황성잔치 올라가는 대목 ▲눈 뜨는 대목 등 심청가의 눈대목들이 펼쳐질 예정이다.
동초제 판소리는 다른 류의 사설에 비해 그 드라마적 특성과 이야기의 일관성, 사설의 정확성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특히 소리의 리듬변화를 일컫는 붙임새 기교는 동초제가 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지를 잘 알려주는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날 공연에서는 서편소리가 주류를 이루는 광주에서 보기 드문 동초제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효에 대한 사상이 퇴색돼 가는 오늘날에 있어서 공연이 갖는 그 의의가 남다르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젊은 소리꾼 박정희는 우석대학교 한국음악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악학과를 졸업하고 창원야철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일반부 장원(문화부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난석 이일주 명창에게 심청가, 춘향가, 흥보가를 사사하였다.
현재 전남도립국악단 창악부의 젊은 단원으로서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날 고수에는 전남도립국악단 기악부 단원이며 서울시무형문화제 제25호 고법전수자로서 보성소리축제 고수대회 명고부에서 우수상을 차지한 김동근씨가 맡는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기타 궁금한 사항은 문화체육과 국악전수관(☏350-4557)으로 문의하면 된다.
like1@naver.com
제12회 광주건축ㆍ도시문화제 개최 (0) | 2015.11.02 |
---|---|
‘빛고을 김장사랑 나눔대전’ 참가 기관․단체․가정 접수 (0) | 2015.11.02 |
국립아시아 문화전당 사진찍고 온누리상품권 받아가세요 (0) | 2015.11.01 |
광주과학문화축전, 물음과 느낌이 있는 과학, 미래를 펼치다 (0) | 2015.11.01 |
광주시, 제13회 전국노인서예대전 시상식 개최 (0) | 2015.10.30 |
Author : 나랑블루 / Date : 2015. 6. 2. 17:04 / Category : 생활·교육·행사/교육
빛고을국악전수관 제53기 수강생 모집!
- 민요, 판소리, 가야금, 대금, 가야금병창, 장고, 고법, 해금 등 8개 강좌
- 오는 30일까지 과정별 20명 내외 모집
▲ 빛고을 국악전수관 ⓒ외침
광주 서구 빛고을 국악전수관에서 지역 주민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제53기 국악문화학교 및 방과후 어린이국악교실 수강생을 모집한다.
국악문화학교는 오는 7월 1일부터 9월 22일까지 3개월 과정,민요, 판소리, 가야금, 대금, 가야금병창, 장고, 고법, 해금 등 8개 강좌를 초ㆍ중급반으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초등학생을 위한 어린이강좌도 가야금, 해금 2개 강좌를 운영한다.
수강을 원하는 주민 및 어린이는 오는 30일까지 서구 빛고을 국악전수관에 방문‧전화신청하면 되며, 각 과정별 20명 내외로 모집한다.
수강료는 3개월에 5만원이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구 빛고을국악전수관(T. 350-4557)으로 문의하면 된다.
like1@naver.com
▲ 민요반(사진제공 : 광주광역시 서구청)
▲ 해금반 (사진제공 : 광주광역시 서구청)
포토.서부교육지원청, 청렴선언으로 깨끗하고 신뢰받는 교육행정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 마련 (0) | 2015.06.03 |
---|---|
동부교육지원청,Wee센터 ‘마음톡톡 예술치유 힐링프로그램’ (0) | 2015.06.03 |
첨단중학교, 도심 속 생명 가득한 학교 만들기, 텃밭, 학교정원, 동물농장 (0) | 2015.06.02 |
유덕중학교, ‘학교에서 만나는 세계’를 통한 국제이해교육 구현 - 주한 외국인 초청을 통한 세계문화이해 (0) | 2015.06.02 |
어린이 청소년이 행복한 도시, 광주의 길을 찾다. 덴마크, 독일 어린이 청소년 정책 국외연수 보고회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