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경제/경제

광주광역시 DJ센터, 광주도시철도공사 연봉에 대한 해명자료발표

나랑블루 2015. 9. 18. 17:41

광주광역시 DJ센터, 광주도시철도공사 연봉에 대한 해명자료발표

- DJ센터, 임원 평균비교기준이 다르다.

- 광주도시철도공사, 경영평가를 통한 보수와 성과금 반영


▲ 광주광역시청 ⓒ외침


노컷뉴스에서 2015년 9월 18일 강기윤 새누리당의원이 행자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143개 지방공기업 임직원 평균급여액 현황자료에 근거하여 보도한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전남 지방공기업 임원 평균연봉 ‘최고’>라는 기사의 해명자료를 발표했다.


18일 노컷뉴스는 정규직 직원 1명당 평균연봉은 광주도공 5천9백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전남개발공사 4천 9백만원, 김대중컨벤션센터 4천8백, 여수시도시공사 4천 7백만원, 광주환경공단 4천5백 순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하여 광주광역시는 광주전남 공기업 중 김대중컨벤션센터 임원 1인당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이유는  “타 공기업 임원은 사장 및 상임이사 등 2~3명이상이나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임원이 사장 1명으로서, 임원 평균연봉 비교 기준이 다르다”라 했다. 

※ 기관별 임원 수가 상이하고, 사장과 상임이사간 연봉차를 미고려됨

※(상임이사 수) 광주도철, 광주도공 : 2명, 광주환경 : 1명


또한 광주전남 공기업 중 광주도공 정규직 직원 1명당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이유는 “광주도공은 ’93년 설립되었고(호봉제에 따른 자연증가), 행자부 주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최고등급인 “가”등급 획득(최근 3년) 결과 등이 직원 보수와 성과급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설립연도) 광주도철 및 환경공단 ’02년, KDJ센터 ’04년, 광산구시설관리공단 ’14년 

 

like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