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광주형 일자리 모델’ 용역보고서 공개 시민 의견 접수, 시책에 적극 반영키로
광주시, ‘광주형 일자리 모델’ 용역보고서 공개
시민 의견 접수, 시책에 적극 반영키로
▲ 광주광역시청 ⓒ외침
광주광역시는 민선6기 중요 시책의 하나인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광주형 일자리모델 구축’ 연구 용역을 완료하고, 그 결과를 지난 20일 정책연구관리시스템(www.prism.go.kr)에 공개했다.
용역보고서는 광주시가 향후 추진할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앞으로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접수, 시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 의견 접수: 광주광역시 사회통합추진단 전화(062-613-6290, 6291), 팩스(062-613-6269), 이메일(전자우편 ssha1516@korea.kr)
시 박병규 사회통합추진단장은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접목 가능한 보다 세밀화된 실행계획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앞으로 각계 각층의 의견을 듣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라고 말했다.
용역보고서(제공:광주광역시)
▲ 광주형 일자리 창출모델(안) 정의
- 광주시가 주도하고 지역의 이해 당사자인 노사와 시민들이 참여하는 연대를 통하여 혁신을 지향하는 자동차 산업의 신규투자를 유치하고 광주지역에 사회통합기반 혁신공장을 설립
-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조합을 경영의 파트너로 인정하는 ‘노사 파트너십’을 구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모델
- 지역고용 전략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지역주체의 일자리 창출모델에 대한 방향성 제시
▲ 사회통합기반 광주 혁신공장 설립 주요 내용
적정임금 설정, 임금체계 개편, 노동조합 경영참가, 학습공장 실현, 자율팀에 의한 생산방식, 새로운 노동자 유형 정립, 위탁 생산방식, 별도 법인 설립
- (적정임금 설정) 광주 평균임금, 1차 협력업체 직원 연봉 수준 등 고려
- (노동조합 경영참가) 노동조합의 경영참가를 통한 경영책임의 공유
- (학습공장 실현) 지속적 교육훈련을 통한 고숙련 실현
- (생산방식) 자율적 작업팀에 의한 생산방식 전환
- (새로운 노동자유형 정립) 자율적 숙련형성, 참여, 책임성의 강조
- (별도 법인설립) 독일의 Auto 5000, 미국 GM의 새턴 사례 연구
▲ 발전방향
- 새로운 ‘노사파트너십’을 통해 저생산성-고임금-장시간노동 ⇨ 고숙련-고부가가치-고임금의 선순환 체계로 변환
like1@naver.com